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RHEL)는 기업 시장을 위한 리눅스 배포판으로, 안정성과 장기 지원을 중시하며, 레드햇 리눅스에서 파생되었다. RHEL은 페도라 프로젝트와 CentOS Stream의 개발 성과를 활용하며 발전해왔다. RHEL은 10년의 지원 수명 주기를 가지며, 소스 코드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지만 재배포는 금지된다. 주요 파생 배포판으로는 AlmaLinux, CentOS, Rocky Linux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IA-32 리눅스 배포판 - 아치 리눅스
아치 리눅스는 2002년에 시작된 x86-64 마이크로프로세서용 리눅스 배포판으로, 단순성을 추구하며 사용자가 직접 시스템을 설정하고 관리하도록 설계되었고, 롤링 릴리스 방식과 팩맨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하며, AUR을 통해 다양한 패키지를 제공한다. - IA-32 리눅스 배포판 - 타이젠
타이젠은 리눅스 재단 주도로 삼성전자와 인텔이 후원하여 개발된 리눅스 기반 오픈 소스 운영체제로, 스마트폰, 스마트 TV, 웨어러블 기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 다양한 기기 플랫폼을 지원하며 삼성전자는 바다 운영체제를 통합하여 생태계를 확장했고 웨어러블 기기에서는 Wear OS로 전환되었으나 스마트 TV에서는 계속 사용되고 있다. - 레드햇 소프트웨어 - 매니지IQ
매니지IQ는 IT 부서의 효율적인 운영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로, 셀프 서비스, 규정 준수, 최적화 기능을 제공하며,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하고 AI,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클라우드 관리 기능을 개선하고 있지만, 기능 부족, 시스템 성능, 보안 취약점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레드햇 소프트웨어 - 시그윈
Cygwin은 윈도우에서 유닉스 시스템과 유사한 환경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로, POSIX API 구현 및 다양한 개발 도구를 통해 유닉스 기반 소프트웨어의 개발, 빌드, 실행을 지원한다. - ARM 리눅스 배포판 -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구글이 개발한 리눅스 커널 기반의 모바일 운영체제인 안드로이드는 오픈소스 플랫폼으로 다양한 기기에서 활용되며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지만, 개인정보 보호 문제와 독점적 지위 남용 논란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ARM 리눅스 배포판 - 젠투 리눅스
젠투 리눅스는 다니엘 로빈스에 의해 개발된 소스 기반의 리눅스 배포판이며, 포티지 패키지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여 높은 사용자 정의와 유연성을 제공하고 다양한 아키텍처를 지원한다.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개발사 | 레드햇 |
계열 | 리눅스 (유닉스 계열) |
출시일 | 2000년 2월 22일 |
소스 모델 | 오픈 소스 |
최신 버전 | "10: 10.0 베타 (2024년 12월 11일)" "9: 9.5 (2024년 11월 13일)" "8: 8.10 (2024년 5월 22일)" "7: 7.9 (2020년 9월 29일)" |
최신 미리보기 버전 | 10 베타 |
최신 미리보기 날짜 | 2024년 11월 14일 |
마케팅 대상 | 상업 시장 (서버, 메인프레임, 슈퍼컴퓨터, 워크스테이션) |
커널 종류 | 모놀리식 커널 (리눅스) |
작동 상태 | 현재 |
지원 플랫폼 | x86-64; ARM64; IBM Z; IBM Power Systems |
업데이트 방식 |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
패키지 관리자 | RPM (패키지 형식) Flatpak (패키지 형식) Yum, DNF (명령줄 프론트엔드) yumex, dnfdragora, GNOME Software (그래픽 프론트엔드) |
언어 | 다국어 |
사용자 랜드 | GNU |
UI | GNOME Shell, Bash |
라이선스 | 다양한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프로프라이어터리 바이너리 블롭 포함 |
이전 버전 | Red Hat Linux |
웹사이트 |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공식 웹사이트 |
기타 | |
기본 사용자 인터페이스 | 그놈 |
2. 역사
Red Hat Enterprise Linux (RHEL)는 본래 개인 사용자와 기업 모두를 대상으로 했던 Red Hat Linux (RHL)에서 파생되었다. 레드햇은 2002년 기업 시장에 집중하기 위해 RHEL을 출시하고, 개인 사용자와 커뮤니티를 위한 페도라 프로젝트를 별도로 시작했다. RHEL은 안정성과 장기적인 기술 지원을 중시하며, 페도라 및 CentOS Stream의 개발 성과를 통합하여 발전해왔다.
초기 RHEL 버전은 Red Hat Linux를 기반으로 했다. 예를 들어, 2000년 3월 27일에 발표된 Red Hat Linux 6.2E (코드명 Zooteng) 이후, 2002년 3월 26일에는 RHEL 2.1 AS (코드명 Pensacolaeng)가 출시되었으며, 이는 리눅스 커널 2.4.9 버전을 기반으로 했다. RHEL 3 (코드명 Tarooneng)은 2003년 10월 22일에 출시되었고, 리눅스 커널 2.4.21 버전을 사용했다.
이후 RHEL은 페도라 프로젝트의 결과물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 RHEL 4 (코드명 Nahanteng): 2005년 2월 15일 출시, 리눅스 커널 2.6.9 기반, Fedora Core 3 기반. 이때부터 마이너 업데이트 버전을 "Update X" 대신 ".X" 형식으로 표기하기 시작했다. (예: RHEL 4 Update 1 → RHEL 4.1)
- RHEL 5 (코드명 Tikangaeng): 2007년 3월 14일 출시, 리눅스 커널 2.6.18 기반, Fedora Core 6 기반.
- RHEL 6 (코드명 Santiagoeng): 2010년 11월 10일 출시, 리눅스 커널 2.6.32 기반, Fedora 12 및 13 기반.
- RHEL 7 (코드명 Maipoeng): 2014년 6월 10일 출시, 리눅스 커널 3.10.0 기반, Fedora 19 및 20 기반.
- RHEL 8 (코드명 Ootpaeng): 2019년 5월 7일 출시, 리눅스 커널 4.18 기반, Fedora 28 및 CentOS Stream 8 기반. systemd 239, 그놈 3.28 등을 포함했다.
RHEL은 버전이 올라가면서 제공하는 에디션 종류에도 변화가 있었다. 버전 4까지는 데스크톱(Desktop), 워크스테이션(WS), 엔트리급 서버(ES), 대규모 서버(AS)의 4가지 에디션이 존재했다. 버전 5에서는 데스크톱, 기본 서버(Base Server), 고급 플랫폼(Advanced Platform)의 3가지로 변경되었다. 버전 6부터는 클라이언트(Client)와 서버(Server) 2가지 기본 에디션을 제공하고, 필요에 따라 추가 기능(Add-on)을 별도로 구매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RHEL과 Red Hat Linux, 페도라, CentOS Stream 간의 대략적인 관계는 다음과 같다.
Red Hat Linux / 페도라 / CentOS Stream | RHEL |
---|---|
Red Hat Linux 6.2 | RHEL 2.1 |
Red Hat Linux 7.2 | RHEL 2.1 |
Red Hat Linux 9 | RHEL 3 |
Fedora Core 3 | RHEL 4 |
Fedora Core 6 | RHEL 5 |
Fedora 12 / 13 | RHEL 6 |
Fedora 19 / 20 | RHEL 7 |
Fedora 28 / CentOS Stream 8 | RHEL 8 |
Fedora 34 / CentOS Stream 9 | RHEL 9 |
(내용 없음)
레드햇은 RHEL의 소스 코드를 공개하며, 이를 기반으로 RHEL과 높은 호환성을 목표로 하는 무료 리눅스 배포판들이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AlmaLinux와 Rocky Linux가 있다. 오라클이 개발하는 Oracle Linux 역시 RHEL을 기반으로 하지만, 독자적으로 수정한 커널을 사용하기도 한다.
3. 지원
3. 1. 지원 체계
RHEL은 출시 후 10년 동안 레드햇의 공식 지원(보안 업데이트 포함)을 받을 수 있다.[93] 단, RHEL 3, 4 버전의 경우, 출시 8년차 이후 추가 3년 동안 지원을 받으려면 별도의 계약이 필요하다. RHEL 5, 6 버전은 보안 업데이트가 종료된 후에도 3년 동안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새로운 릴리스는 약 2년 주기로 발표된다.
RHEL 자체의 라이선스 비용은 무료이지만, 관련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유료 구독 계약이 필요하다. 이 구독에는 바이너리 패키지 배포, 소스 코드 다운로드 접근 권한, 시스템 업데이트, 기술 지원, 그리고 특허 관련 소송으로부터의 보호 등이 포함된다. 구독 기간 중에는 추가 비용 없이 자유롭게 상위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하거나 하위 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할 수 있다. 바이너리 패키지와 소스 코드를 직접 받기 위해서는 기밀 유지 계약이 포함된 구독 계약이 필요하다. 그러나 RHEL의 기반이 되는 업스트림 프로젝트인 CentOS Stream의 소스 코드는 CentOS 프로젝트의 FTP 사이트를 통해 공개되어 있다. 구독 상품은 RHEL 버전, 지원 시간(하루 8시간 또는 24시간), 지원 기간(1년 또는 3년) 등의 조합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된다.
레드햇은 RHEL 운영 기술에 대한 교육 과정도 제공한다. 관련 기술 자격증으로는 RHCSA(Red Hat Certified System Administrator), RHCA(Red Hat Certified Architect), RHCSS(Red Hat Certified Security Specialist), RHCDS(Red Hat Certified Datacenter Specialist) 등이 있다. 더 자세한 정보는 레드햇#인증 자격증 항목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2. 확장 업데이트 지원 (EUS)
(작성할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 관련 정보가 없습니다.)
4. 릴리스 버전의 경력
Panama (ES)
2014년 1월 30일 (연장)
2017년 3월 31일 (연장)
2020년 11월 30일 (연장)
2024년 6월 30일 (6.10에서 ELS 이용 시)
2028년 6월 30일 (7.9에서 ELS 이용 시)
2032년 5월 31일 (8.10에서 ELS 이용 시)
2035년 5월 31일 (9.10에서 ELS 이용 시)